엑셀 작업을 하다 보면 셀 합치기를 해야 할 경우가 있는데 엑셀에서는 셀 합치기 단축키를 기본으로 제공하지 않는다. 이번 시간에는 셀 합치기 단축키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예를 다음 그림과 같이 합쳐야 될 셀이 3개나 되는 표가 있다고 하자.
보통 방법은 합칠 셀을 블록 설정하고, ‘병합하고 가운데 맞춤’이라는 아이콘을 눌러주면 된다.
그런데 다른 메뉴에서 작업하다가 셀합치기를 하고 싶은 경우에는 ‘홈’을 누른 후 ‘병합하고 가운데 맞춤’ 아이콘을 눌러줘야 한다.
이렇게 셀을 합칠 때마다 아이콘을 찾아서 누르는 건 여간 번거로운 일이 아니다.
셀합치기 단축키 설정 방법
셀합치기 단축키를 설정하려면 그림과 같이 엑셀창 제일 위쪽에 빠른 실행 도구모음에서 화살표를 눌러 기타명령을 실행해준다.
엑셀 옵션 창이 뜨면 ‘병합하고 가운데 맞춤’을 선택하고, 추가 버튼을 눌러 준다.
가나다 순으로 명령들이 있기 때문에 쉽게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추가된 명령은 오른쪽 화살표를 이용해 원하는 순서로 바꿔주고 확인을 눌러준다.
오른쪽에서 원하는 위치 앞에 메뉴를 선택하고 왼쪽에서 원하는 명령을 더블클릭해도 된다.
그러면 프로그램 윗쪽 ‘빠른 실행 도구모음’에 추가된 걸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추가한 기능은 ‘Alt + 숫자’란 단축키로 실행 가능하다.
또한, 한번 설정하면 컴퓨터를 껏다 켜도 계속 유지된다.
만약 아래 그림과 같이 설정했다고 하면 ‘셀 병합하고 가운데 맞춤’은 Alt + 1을 누르면 된다.
셀 나누기는 Alt + 2, 서식복사는 Alt + 3, 자동합계는 Alt +4, ...
이제 실제로 병합하고 싶은 셀을 블록 설정한 후 Alt + 1을 눌러 보자.
이번엔 다른 블록도 설정한 후 F4 버튼도 눌러보자.
한번 사용한 기능은 ‘F4’를 누르면 연달아 사용도 가능하다.
한글에서는 Alt + C란 단축키로 모양복사를 할 수 있는데 매우 편리하다.
엑셀에서도 모양복사 기능을 셀 병합하기처럼 단축키로 등록해서 사용하면 좀 더 편리하다.
이처럼 자주 사용하는 기능은 빠른 실행 도구모음에 추가하여 단축키로 활용하면 좋다.
빠른 실행 도구모음 명령 추가 요령
빠른 실행 도구모음에 명령을 추가할 때에도 요령이 있다.
잘 보면 아래 그림과 같이 아이콘이 위치한 순서대로 단축키 숫자가 매겨지는 걸 알 수 있다.
왼손으로 Alt + 7, 8, 9를 누르는 것보다는 Alt + 1, 2, 3을 누르는게 편하기 때문에 가급적 빠른 실행 도구모음에 명령을 추가할 때에는 자주 사용하는 기능을 위쪽(앞쪽)으로 놓는 게 좋다.
또한 아이콘이 9개가 넘으면 09, 08, 07...로 표시된다.
이런 경우 09로 표시된 건 Alt를 눌렀다 떼고, ‘0’, ‘9’를 누르면 선택된다.
약간 복잡하다.
따라서 자주 사용하는 기능이라면 9번째 이내로 순서를 바꾸는 게 좋다.
파워포인트나 워드도 같은 방법으로 빠른 실행 도구모음에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특히 파워포인트의 경우 도형을 많이 다루기 때문에 도형 정렬기능들과 셰이프 기능들을 추가하면 좋다.
참고로 한글 프로그램에서는 어떻게 셀을 합칠까?
한글은 셀이 아니라 표의 칸 합치기라는 표현이 맞는 것 같다.
합치고 싶은 칸을 블록설정하고 키보드의 ‘M’을 누르면 간단히 합쳐진다.
정리해보면
엑셀 셀합치기 단축키 설정 : 빠른 실행 도구모음 – 기타 명령 - '병합하고 가운데 맞춤' 추가
사용방법 : Alt + 숫자
한번 사용한 명령(기능) 연속 사용 : F4
한글 칸합치기 단축키 : M
'컴퓨터팁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글 상용구 사용방법 (0) | 2017.07.04 |
---|---|
포토웍스로 사진 용량(사이즈) 줄이기 (0) | 2017.07.02 |
엑셀 행삽입 단축키와 열삽입 단축키 (3) | 2017.06.19 |
티스토리 글꼴 줄간격 변경 방법 (0) | 2017.06.19 |
문자표가 보고 싶을 땐 자음 + 한자키 그리고 Tab (0) | 2017.06.13 |